심리학

스트레스 - 일상적 사건

♡☆^◇^☆♡ 2022. 2. 17. 11:47

 

 

(1) 물리적 환경요인

 물리적 환경은 일상적으로 자주 접하게 되고 쉽게 벗어날 수 없는데, 특히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곳의 물리적 환경이 어떠하냐에 따라 스트레스가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리적 환경으로는 소음, 오염, 밀집 상황 등이 있습니다.

 먼저 소음에 대해서 살펴보면, 소음이 많은 곳의 아동들은 생리적 각성이 만성적으로 높았으며 인지과제를 수행할 때 쉽게 포기하였습니다(Evans, Hygge, & Bullinger, 1995). 하지만 소음은 개인이 소리에 대한 주관적 태도가 더욱 중요합니다.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 소음 크기에 따른 수면 장애의 변화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지만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소음이 클수록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더 많은 질병이 발생하였습니다(Nivision & Endresen, 1993).

다음으로 오염은 그 자체로 신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만 심리적으로도 부정적 영향을 나타나게 하는데, 오염된 곳에 거주했던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와 심리 증상이 더 높았습니다(Matthies, Hoeger & Guski, 2000). 그리고 사람들은 오염을 통제할 수 없다고 지각할 때 더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오염된 공기로 인한 스트레스는 실제 오염 수준이 아니라 오염을 통제할 수 있느냐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Rotton, Yoshikara, & Kaplan, 1979).

 마지막으로, 밀집 상황에 대해 살펴봅니다. 밀도는 물리적 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밀도가 높다고 그 자체로 스트레스를 받지는 않지만, 밀집은 불쾌하게 느끼는 혼잡함을 의미하며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영화관이나 야구 경기장 안에서 사람들은 밀도 있게 앉아 있지만 밀집된 상황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하지만 복잡한 거리를 지날 때는 매우 밀집되어 있다고 지각합니다. 밀집된 상황에서는 공격성이 높아지고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 낮아지며 대인 관계가 위축되고 범죄율이 증가합니다(Sundstrom, 1978). 한편, 밀집은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치료감호소에 있는 재소자들의 사망률은 수감자들의 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수감자가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사망률도 유사하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aulus, McCain, & Cox, 1978).

 

(2) 심리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이외에 심리사회적 환경도 일상적 사건들을 자주 경험하게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므로 사람들 간의 관계에서 벗어나기 힘들기 때문에 심리사회적 환경은 물리적 환경보다 더 빈번하게 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차별, 직업, 대인관계 등이 있습니다.

차별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러 인종이 살고 있는 미국의 경우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아직도 여러 상황에서 차별을 받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이 됩니다(Landrine & Klonoff, 1996).

 이 밖에 여성, 노인, 비정규직 등과 관련한 차별이 있으며 차별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 외에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높이기도 합니다(Troxel et al, 2003).

 물리적인 작업 환경도 스트레스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자신의 직업 또는 직무 역할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느냐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위가 낮은 말단 사원은 일반적으로 관리직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며(Wamala et al, 2000), 매일 많은 결정을 내려야 하는 회사 중역들에 비해 결정된 사항에 따라 일을 처리해야 하는 부하 직원이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더 높습니다. 이는 관리직이나 중역의 업무는 요구 수준이 높은 동시에 통제 수준도 높지만, 말단 사원이나 부하 직원은 요구 수준이 높지만 업무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장 소장과 같은 중가나 관리자들도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장 소장과 같은 중간 관리자들도 스트레스가 높은데, 상사와 부하 직원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켜야하므로 자신의 실제 역할에 비해 스트레스를 더 높게 경험합니다.

 대인관계는 사람이 혼자서 생활하지 않는 한, 모든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인관계가 활발하지 않으면, 더 활발하게 관계를 맺는 것보다 건강에 있어서 위험성이 좀 더 높아집니다(Hobfoll & Vaux, 1993). 하지만 대인관계가 많다고 하더라도 항상 건강에 이롭지 않을 수도 있는데, 청소년과 대학생들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사건들 중 1/3이 대인관계에서 발생하였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가족관계에서도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데, 가정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 및 기대 수준 차이가 부부갈등을 일으켜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됩니다. 특히, 여성은 직장인과 아내, 엄마라는 역할로 남성에 비해 가사와 육아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여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댓글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