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인지학습

인지학습

 

인지학습 이란?

 모든 학습이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방법으로 성립되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경우 단순히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어떤 사상을 익히기도 합니다. 지난밤 TV를 통해 뉴스를 시청했다면 무엇인가를 익혔고 그것을 누군가에게 말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학습상황에선 뚜렷한 강화의 기능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단지 환경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부호화하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처리과정과 관계됩니다.

앞에서 학습을 경험의 결과로 나타난 행동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라고 정의했습니다. 이 절에서 살펴볼 인지학습(cognitive learning)을 정의해 보면, 학습은 뚜렷한 강화 없이 어떤 경험의 결과로서 정보처리 방법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지학습에는 잠재학습, 통찰학습, 관찰학습 등이 있습니다.

 

 

 

(1) 잠재학습

 

 잠재학습(latent learning)의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로학습(maze learning)의 실험을 먼저 소개합니다. 미로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간단하고 곧은 미로에서 쥐는 목표지점에 더 빨리 도달하는 것을 학습합니다. 이보다 좀 더 복잡한 미로에선 여러 갈래의 길 중에 목표에 도달하는 길을 선택하는 것을 학습합니다. 미로학습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쥐는 배가 고프거나 목이 마르거나 기타 방법으로 동기유발이 되어야 합니다. 그다음으로 쥐는 미로의 출발점에 놓이고 목표에 이르는 골목을 통과하게 됩니다. 목표지점에선 동기 상태에 적절한 물이나 먹이 같은 보상이나 강화가 주어집니다. 한 시행이 끝나면 다음 시행시간이 될 때까지 평상시에 있던 우리에 있게 됩니다. 그리고 막힌 골목으로 들어가는 등의 오반응은 점차로 줄어들고, 출발점에서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줄어듭니다. 미로학습에서 부적 강화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 동물은 목표지점을 제회하고 미로의 어느 곳에서 전기 충격이 있게 되면 쥐는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방법을 학습할 것입니다.

 

 이제 잠재학습을 알아봅니다. ‘잠재란 숨겨져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말이 의미하듯이 어떤 경험의 결과, 당장에는 행동변화의 증거가 보이지 않고 숨겨져 있다가 나중에 적당한 조건일 때 행동변화의 증거를 보이는 경우를 잠재학습이라고 합니다. 톨먼(Tolman, 1959)은 전형적 잠재학습 실험에서 실험집단의 쥐에게 특정 반응에 대한 강화 없이 미로를 경험시킵니다. , 그들은 단순히 미로에서 얼마 동안 살게 합니다. 그 안에서 쥐는 돌아다닐 것입니다. 한편, 통제집단의 쥐는 미로경험을 제외하고는 실험집단과 똑같이 취급받습니다. 실험집단이 미로를 탐색하고 있는 동안 통제집단은 미로가 없는 상자에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 알고자 하는 것은 실험집단의 쥐가 통제집단의 쥐에 비해 미로경험을 통해 무엇인가를 더 많이 학습했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만일 그들이 학습했다면 미로에서 강화가 주어질 때 그들의 수행행동에서 학습의 증거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들은 학습한 것을 사용할 것이고 미로경험을 하지 못한 통제집단보다 목적을 더 잘 성취할 것입니다. 잘 통제된 실험에서 실험집단의 쥐는 통제집단의 쥐보다 오반응을 더 적게하고 더 빨리 목표지점에 도달했습니다. 이와 같이 잠재학습은 대개 보상 없이 진행되지만, 적절한 보상이 있을 때는 이전에 학습했던 것을 갑자기 이용하여 학습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2) 통찰학습

 전형적인 통찰학습(insight learning) 상황에서 보통 어떤 문제가 제시됩니다. 이 때 피험자는 문제해결의 진전을 보여 주지 않다가 갑자기 해결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통찰학습의 학습곡선은 한동안 학습의 증거가 없다가 별안간 비약적으로 학습이 거의 완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어떤 문제를 통찰에 의해 해결하면 아하 경험(aha experience)'을 합니다. “아하는 문제에 대한 답이 갑자기 떠올르 때 내는 기분 좋은 느낌의 소리입니다.

 

통찰학습을 예시하기 위해 다음의 문제를 소개합니다. 이 수열 맨 나중에 뒤따를 숫자는 무엇일까?

 

< 1 4 9 1 6 2 5 3 6 4 9 6 4 ? >

 

 다양한 숫자들을 가지고 여러 가지 배열 또는 지각적 조직을 해 좀으로써 문제는 해결될 것입니다. 한동안 해결의 진전이 없다가 갑자기 통찰이 생깁니다. 답을 알아내면 유쾌한 아하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일단 통찰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면 유사문제의 해결이 쉽게 전이됩니다. 앞의 수열 문제를 해결하면 유사한 수열문제들을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의 습득 (학습이론, 생득이론)  (0) 2022.02.08
관찰학습 (A. Bandura)  (0) 2022.02.07
기억의 특성  (0) 2022.02.04
서술적 지식과 절차적 지신  (0) 2022.02.03
노년기의 발달  (1) 2022.02.02